네트워크
TIL : 스위치와 전이중 이더넷
ted k
2021. 12. 8. 09:42
스위치
- 신호가 지나는 길을 나누기 위한 기기 (허브 대신 사용한다.)
- 전이중 통신
- 스위치를 통해 충돌은 없다! == 충돌 도메인은 스위치에 의해 분할된다.
- CSMA/CD 는 반이중 통신으로 효율이 떨어진다!
케이블은 송수신을 위한 길이 나눠져 있으므로 충돌은 허브에서 일어난다.
MAC 주소 필터링
- 스위치 안에서 수신한 프레임을 따로 보낼 수 있도록 처리해서 충돌을 막는다.
- MAC주소 필터링
- 학습 : 수신한 프레임의 송신처 MAC 주소를 기록하여 수신한 포트와 MAC주소를 연관짓는다.
- 스위치는 포트에 연결 돼 있는 모든 컴퓨터의 MAC 주소를 기록한다. ( 어드레스 테이블 )
- 스위칭 : 프레임의 수신처 MAC 주소를 보고 그 MAC 주소가 있는 포트만 프레임 송신한다.
- 스위칭을 통해 수신처가 다른 프레임이 동시에 스위치에 도달해도 충돌 발생하지 않는다
- 버퍼링
- 버퍼(메모리)를 사용한 처리
- 충돌할 것 같은 프레임을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 하나가 끝나면 저장된 프레임을 송신한다.
- 버퍼 용량이 부족하다면 백프레셔, IEEE802.3x 규격을 사용해 블락한다. ( 버퍼가 부족할 것 같다고 판단하면 송신 중지)
- MAC주소 필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