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pring
- OS
- mongoDB
- c언어
- C
- Data Structure
- 운영체제
- Proxy
- 네트워크
- 백준
- Galera Cluster
- design pattern
- Algorithm
- 디자인 패턴
- react
- MySQL
- JPA
- 알고리즘
- IT
- JavaScript
- 파이썬
- spring webflux
- redis
- 자바
- 자료구조
- 컴퓨터구조
- Kafka
- Java
- Heap
- MSA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 (20)
시냅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UBxs/btrJFPzKYtT/xtb3yuDKfu0a0YhoYZRuVK/img.png)
Blocking 요청한 작업을 마칠 때까지 계속 대기한다. return 값을 받아야 끝난다. 호출된 함수가 자신의 작업을 모두 마칠 때까지 호출한 함수에게 제어권을 넘겨주지 않고 대기하게 만드는 것 e.g. 전화를 받을 때까지 계속 대기 후 답을 얻는다. Non-blocking 요청한 작업을 즉시 마칠 수 없다면 바로 Return 한다. 결과가 완료 되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호출된 함수가 바로 Return 해서 호출한 함수에게 제어권을 넘겨주고 호출한 함수가 다른 일을 할 수 있게 기회를 준다. e.g. 전화를 했는데 받지 않아 계속 반복 전화하다가 어느 순간 받아서 답을 얻는다. Synchronous (현재 작업의 응답과 다음 작업의 요청이) 동시에 똑같이 진행된다. 작업 요청을 했을 때 요청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Llh/btrJeqolhyC/bzXKDB7G9t2DKMQmTDtZj0/img.png)
HTTP 란? 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 (API)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 가능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 사용 HTTP/0.9 1991년: GET 메서드만 지원, HTTP 헤더X HTTP/1.0 1996년: 메서드, 헤더 추가 HTTP/1.1 1997년: 가장 많이 사용,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버전 HTTP/2 2015년: 성능 개선 HTTP/3 진행중: TCP 대신에 UDP 사용, 성능 개선 HTTP 특징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Request, Response 구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대기 서버가 요청에 대한 결과를 만들어서 응답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X 장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7BFC/btroAArx4ol/V6v5bSfLNhjt6UE6b3zhJK/img.png)
자율화 시스템(AS) 정적라우팅 : 관리자가 수동 입력 동적라우팅 : 라우터가 자동으로 경로 지정 장애 발생 시 우회로를 만드는 등 중복성(여분을 통해 대응) 유지를 위해 사용 라우팅 프로토콜 : 동적 라우팅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 근접해있는 라우터 간의 네트워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규칙 교환한 정보를 근거로 라우팅 테이블 변경 AS간 라우팅용(EGP), AS내부 라우팅용(IGP) 네트워크 정보(장애 여부, 네트워크 인지 여부 등)를 통해 언제, 어떻게, 누구에게, 어떤 정보를 교환할지 결정 -> 컨버전스 상태가 된다 최적의 경로 라우팅 테이블에 기재 하나의 관리 단체에 의해 관리되는 네트워크 집합체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합해 큰 단위의 라우팅 수행 메트릭 최적의 경로를 결정할 때의 판단 기준 라우터 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ZiwTu/btrogv4wjyA/67k9aIh9Kx3Qy9xUfnTG4k/img.png)
라우팅테이블 수신처 네트워크, 중계지점, 메트릭, 수신처의 출구가 기재되어 있다. 라우터는 수신처 네트워크 주소와 라우팅 테이블을 비교해서 경로를 찾아낸다. 수신처가 불명일 시 데이터그램을 파기한다. 2개의 라우팅 라우터는 최적의 경로를 찾기 위해 다른 네트워크 경로를 모두 알 필요가 있다. 알고있는 경로 중 최적의 경로를 선택해서 라우팅 테이블을 작성한다. 정적라우팅 관리자가 수동으로 경로 입력 수동으로 입력한 경로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위 경우 관리자가 수동으로 다시 갱신한다. 동적라우팅 라우터가 자동으로 정보를 서로 교환해서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모든 경로 중에서 자동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해서 라우팅 테이블을 작성 저속 회선을 사용하는 경우 회선 전송을 압박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sxRe/btroj7aw7t8/Ak2LHkBtW594T5ECG8ITok/img.png)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브로드캐스트는 라우터를 넘어서 전송할 수 없다. 라우터가 네트워크를 나누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가 다른 네트워크에 송신되지 않도록 한다.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 브로드캐스트가 도달하는 범위 충돌도메인 : 충돌 영향이 미치는 범위 충돌 도메인은 스위치가 구분,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은 라우터가 구분 ARP와 라우터 ARP는 브로드캐스트로 수행된다.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트를 중지해버리기 때문에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수신처 MAC 주소를 ARP로부터 입수할 수 없다. 디폴트 게이트웨이 디폴트 게이트웨이로 데이터를 보내서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컴퓨터가 최초로 데이터를 보내는 수신처는 디폴트 게이트 웨이 컴퓨터는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 디폴트 게이트웨이로 ARP를 수행한다. 컴퓨터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RzEJM/btrogwBuz7X/ZHp8mw1mCc6bKcsmQYgys0/img.png)
라우터 인터넷 작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장치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끼리 연결한다. 라우터의 각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소속된다 라우팅 데이터그램의 수신처 IP주소를 근거로 다음 라우터 결정 필터링 데이터그램에 조건을 붙여 데이터 그램을 파기하여 전송하지 못하게 한다 라우팅 테이블 최적의 경로 지도 기재내용 수신처 네트워크 까지의 거리 다음에 도달하는 라우터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는 자신의 인터페이스 다음 수신처를 찾아내는 규칙 - 최장일치의 룰 (비트가 프리픽스 길이까지 일치한 것 중에서도 가장 프리픽스 길이가 긴 경로를 선택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3uLR/btrohTJX1ph/VQJcrr9DijKqpizwRWISIk/img.png)
MAC주소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의 수신처 MAC 주소로 다음에 보낼 장소 지정 -> 또 다음 MAC 주소 지정 -> ... -> 최종 도착! IP주소 수신처의 컴퓨터를 결정 IP주소는 변경이 없다! 경로 최종 수신처까지의 경로 라우터가 다음에 어디로 보내야 할지 결정 ( 홉 바이 홉 ) 라우터는 네트워크 경계상에 배치된다. 라우터가 없으면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그램을 보낼 수 없다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에는 무조건 라우터를 거친다 컴퓨터가 지정하는 라우터 = 디폴트 게이트웨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rnoHt/btrn75Ygyub/PFeLCAVkKkT9qUeSwyXkl0/img.png)
주소 해결 프로토콜 ( ARP ) 수신처의 MAC주소는 수신처의 IP주소가 결정된 이후 정해진다. IP주소의 호스트에게 MAC 주소를 질문한다. 데이터를 전송하고 싶은 컴퓨터는 수신처의 IP주소를 결정하고 그 후에 수신처 MAC 주소를 알기 위해 ARP 테이블(IP주소와 MAC주소 대응표)를 참조한다. ARP 테이블에 수신처 IP와 MAC주소의 대응이 있으면 그 시점에 수신처 MAC주소를 알 수 있다. ARP 요청 : ARP 테이블에 수신처 IP주소와 MAC주소의 대응이 없는 경우 질문하는 행위 ARP 요청은 브로드캐스트로 전체 송신한다. ARP 응답이 오면 ARP 테이블에 기재하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파기한다. DNS 수신처 IP 주소를 알아내는 법 사용자가 수신처의 IP 주소를 알고있는 경우(?) 도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Qhg2/btrn82GXF9B/J9l7QXmKTLBUGkVZsK6xEk/img.png)
송신처의 IP 주소와 MAC 주소 IP 데이터그램을 송수신하기 위해서 4개의 주소가 필요하다. 수신처 MAC 주소 송신처 MAC 주소 -> 송신할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 사용 수신처 IP 주소 송신처 IP 주소 정적: 수동으로 네트워크 관리자가 정한 IP 주소를 입력한다. 동적: DHCP (IP 주소가 자동으로 컴퓨터에 설정된다. DHCP 할당할 IP주소를 관리하고 실제로 할당 작업을 수행하는 서버(DHCP서버)와 할당 받는 클라이언트(DHCP클라이언트)로 이뤄진다. 서버는 IP주소풀(관리자가 할당할 주소의 범위) 중에서 요청한 클라이언트에게 각각 유일한 것이 되게 주소를 할당한다. IP주소는 대여 기간을 갖는다. DHCP 메세지 DHCP Discover DHCP 클라이언트는 DHCP 서버를 찾기 위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ejXe/btrnTD3vCsh/KjYNBxAY3MiuNJmvwXSNSk/img.png)
서브네트워크 커다란 네트워크를 몇 개의 네트워크로 작게 분할 호스트 번호의 비트를 서브넷 번호와 호스트 번호로 분할, 호스트 번호의 일부를 줄여서 서브넷 번호를 만든다 -> 서브네팅 1옥텟 2옥텟 3옥텟 4옥텟 네트워크 번호 호스트 번호 172 16 4 1 10101100 00010000 000001 00 00000001 네트워크번호 서브넷 호스트번호 172.16.0.0 네트워크의 서브넷 1번의 1번 컴퓨터 서브넷은 그 네트워크의 내부에서만 유효 서브넷의 숫자를 크게 하면 각 서브넷의 호스트 수는 감소 서브넷 마스크 어느 네트워크에 소속되어 있는가? ( IP 주소의 어디가지가 네트워크 주소? ) 서브넷 마스크 비트열을 IP주소와 동일하게 표기 어디까지가 서브넷 번호인지 표기할 때 네트워크, 서브넷 번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