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redis
- Spring
- 운영체제
- react
- IT
- spring webflux
- Heap
- C
- JavaScript
- mongoDB
- Galera Cluster
- Proxy
- c언어
- 백준
- MSA
- OS
- MySQL
- design pattern
- 컴퓨터구조
- JPA
- Kafka
- 알고리즘
- Algorithm
- Data Structure
- 네트워크
- 자바
- 파이썬
- 자료구조
- Java
- 디자인 패턴
- Today
- Total
목록Stack (2)
시냅스

명령어 하드웨어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 그 어휘를 명령어 집합이라고 한다. MIPS cf) 내장 프로그래밍 개념 : 여러 종류의 데이터와 명령어를 메모리에 숫자로 저장할 수 있다는 개념. 하드웨어 연산 MIPS 산술 명령어는 반드시 한 종류의 연산만을 지시한다. 항상 변수 세 개를 갖는 형식을 엄격히 지킨다. 아래는 MIPS 어셈블리어를 통한 덧셈 명령어 예시이다. add a, b, c # b와 c의 합이 a에 자리한다. add a, a, d # b, c, 와 d의 합이 a에 들어간다. add a, a, e # b, c, d, e의 합이 a에 들어간다. 명령어가 피연산자를 반드시 세 개씩 갖도록 제한하는 것은 하드웨어를 단순하게 하자는 원칙과 부합한다. 피연산자의 개수가 가변적이면 하드웨어가 복잡해진다..

스택 Stack 스택(stack)의 접근은 목록의 끝에서만 일어난다. 끝먼저내기 목록(Pushdown list)이라고도 한다. 스택은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선형 구조(LIFO - Last In First Out)으로 되어 있다. 자료를 넣는 것을 '밀어넣는다' 하여 푸쉬(push)라고 하고 반대로 넣어둔 자료를 꺼내는 것을 팝(pop)이라고 하는데, 이때 꺼내지는 자료는 가장 최근에 푸쉬한 자료부터 나오게 된다. 이처럼 나중에 넣은 값이 먼저 나오는 것을 LIFO 구조라고 한다. 연결리스트를 활용한 스택과 배열리스트를 활용한 스택의 차이점을 아래에서 알아본다. 구현 스택 생성 Push Pop Peek 제거 배열리스트를 활용한 Stack, ArrayStack 스택 생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