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ongoDB
- 네트워크
- react
- OS
- c언어
- Proxy
- Spring
- Algorithm
- spring webflux
- 컴퓨터구조
- 백준
- Kafka
- MSA
- 운영체제
- Galera Cluster
- C
- IT
- 자바
- JPA
- Data Structure
- JavaScript
- Java
- design pattern
- Heap
- 디자인 패턴
- 파이썬
- redis
- 알고리즘
- 자료구조
- MySQL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15)
시냅스
JWT 나의 언어로 요약하자면... 서버에서 결정한 시크릿 키를 토대로 해쉬함수 돌려서 헤더를 통해 전달 구조는 총 3블락으로 이뤄지는데, 헤더 alg : '알고리즘 명세' type : '토큰 타입' payload : 토큰에 담을 정보 signature : 서명(인코딩 된 값) API 마찬가지로 나의 언어로 요약하자면... API는 OS에서 쓰는 System Call 을 어원으로 한다 알고 있는데, 비슷한 맥락으로 Open API 라고 통칭하는 것 같고, Open API는 웹사이트에서 가진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다. 사실 나는 그냥 '명령' 정도로만 쓰고 있다. 몇몇의 회고 밀도있는 계획이 필요하다. meta한 것에 집중할 필요는 없지만, meta한 것을 조금 더 단단히 다..
Generator 원하는 만큼 코드 실행을 시작하거나 중지하는 함수 ( 쓰레드 처럼 이용하고 싶은건가...? ) 비동기 코드와 작성하면 효과적!! 용례 function 키워드에 * 을 붙여주고 반환할 콘텐츠에 yeild를 불여주고 next() 로 실행! 콘텐츠를 전부 호출한 이후에 재실행하면 undefined 와 done: true 반환! return을 사용해 값을 전달 후 함수를 종료할 수 있다. throw를 사용해 오류를 잡고 함수 종료! Promise와 함께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const myPromise = () => new Promise((resolve) => { resolve('our value is...') }) function* gen() { let result = "" // 프로미스를..
Symbol 은 항상 고유하다 객체 내부에 같은 키 값이 있다면 Symbol 로 대체 가능하다 단, 이 때 for in 은 사용하지 못하고, Object.prototype.Symbol() 을 이용해서 배열로 반환 받아 map 으로 접근한다. Class 내가 느끼기엔 여타 class와 비슷... 다른 점은 이미 자바스크립트에서도 prototype을 통해 유사한 작업을 할 수 있지만 문법적 설탕(?)을 뿌린 거라고 한다... 호이스팅은 불가하고 이미 선언이 되어있어야 한다. constructor를 포함시킬 수 있고, super 도 사용 가능 static method 를 구현할 수 있고, setter와 getter도 가능 extends 기능을 사용 해 상속받을 수 있다. 그리고 오늘 aws 에 배포하다가 실수..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항상 모르겠는 3가지 이 기회에 정리하고자 작성합니다. this this를 통해서 특정 스코프를 지정할 수 있는데, 1. 일반 함수의 경우 this 를 사용하면 상위 스코프로 window 객체가 선택될 위험이 상존한다. 2. this를 수동으로 설정하고 싶을 경우 bind()를 사용한다. 3. 화살표 함수를 사용할 경우, this는 상위 스코프에서 상속된다. box.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this.classList.toggle('opening') setTimeout(function() { this.classList.toggle('opening') // 여기서 this는 window 객체! }, 500) }) const box = doc..

Graph - DFS 와 BFS에 쓰이는 걔... - Vertex(정점) == Node, Edge(간선) 으로 표현한다. - Node == Vertex : 위치 - Edge (간선) : 위치 간의 관계, 노드 간 연결된 선 - 인접 정점 (Adjacent Vertex) : 간선으로 직접 연결된 노드 - 참고 : - 정점의 차수 : 무방향 그래프에서 하나의 정점에 인접한 정점의 수 - 진입 차수 : 방향 그래프에서 외부에서 오는 간선의 수 - 진출 차수 : 방향 그래프에서 외부로 향하는 간선의 수 - 경로 길이 : 경로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간선의 수 - 단순 경로 : 처음 정점과 끝 정점을 제외하고 중복된 정점이 없느 ㄴ경로 - 사이클 : 단순 경로의 시작 정점과 종료 정점이 동일한 경우 - 방향이 없..